2005년 1월 30일 개정된 영유아보육법 제2조 제5항에 의거하여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보육, 건강관리 및 보호자와의 상담 그 밖에
보육 시설의 관리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. 나아가 보육교사는 부모들이 자녀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회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
부모와의 정보교환 교류자로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교사나 보육 시설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.
최근 정부 및 지방자체 단체를 중심으로 복지 예산이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
보건복지부에서는 공공형 보육시설, 가정보육교사, 돌봄 교사, 야간 보육시설 등 다양한 보육시설을 확장하여 맞벌이 부부에게 제공하고자 하고 있습니다.
이에 따라 전문가인 보육교사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
" 개인적인 자질 "
자애로움, 영유아와의 공감력,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사고,
원만하고 조화로운 대인관계 능력, 심신의 건강 등
" 전문적인 자질 "
전문지식, 교육기술, 보육에 자부심을 갖는
전문적인 자질 필요
보육교사 3급 | 일반 보육시설에서 교사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. |
---|---|
보육교사 2급 | 3급 자격증 취득 후 2년 이상의 경력과 승급교육을 통해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. 일반 보육시설에서 교사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. |
보육교사 1급 |
2급 자격증 취득 후 3년 이상의 경력과 승급 교육을 통해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. 1급 자격증 취득 후 1년 이상의 경력을 갖추시면 5인 이상 20인 이하의 가정 어린이집을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. 1년 자격증 취득 후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추시면 300인 이하의 보육시설을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. |
교사인성영역 | 보육교사(인성)론, 아동권리와 복지 | |
---|---|---|
보육지식과 기술영역 |
필수 |
보육학개론, 보육과정, 영유아발달, 영유아교수방법론, 언어지도, 아동음악(또는 아동동작, 아동미술), 아동수학지도(또는 아동과학지도), 아동안전관리(또는 아동생활지도), 놀이지도 |
선택 |
아동건강교육, 특수아동 이해, 아동문학교육, 정신건강론, 인간행동과 사회환경, 부모교육론, 가족복지론, 지역사회복지론, 영유아 사회정서지도, 아동상담론, 장애아지도, 어린이집 운영 관리,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, 보육정책론, 아동간호학, 아동영양학, 가족관계론 |
|
보육 실무 영역 |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, 보육실습 |
※ 대면 교과목은 8시간 이상 출석 수업과 1회 이상 출석 시험을 실시해야 함 (보육실습은 제외)
※ 보육실습 : 현장실습 기간은 6주 연속 240시간으로 함
※ 대상자 : 2018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므로 2016년 2학기 수강자부터 적용됨
※굵은 글씨: 메가원격 개설 과목